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수필베스트 70

각자가 바라보는 삶의 일면은 다를 수 있겠지만 궁극적인 삶의 목표나 성찰의 것들은 하나된 것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렇기에 나열되어진 이들의 글 가운데에서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반영해 보며 나름의 삶의 진실과 그 방식들을 결부시켜 인생의 가치를 확인케 되는 기회로 삼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시대적 개인적 구별의 것으로 인한 감성과 관점의 차이나 구별이 다소 있을지 몰라도 우리가 느껴가며 되새길 수 있는 진솔한 각각의 이야기들로 인해 잔잔한 공감과 함께 전해지는 여운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럼으로해서 그만큼의 활력을 키워가는 것인지도...., 그러한 근본적인 읽음의 이유를 무시하고 그저 입시만을 위한 요소를 평가해 접하게 된다면 글에 대한 외향만을 기억할 뿐 제대로 된 이해의 것이 존재할 수 없을 것이란 반성을 해본다.   그러므로 좀 더 여유와 관심을 갖고 각각의 작가들이 전달 하고자 하는 삶의 태도나 의지를 이해해 간다면 보다 폭 넓은 관점에서 보다 깊이 사고해 갈 수 있는 힘을 키워가는 것은 물론 자연스러운 감성의 것을 표출해 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막연하지 않게 우리의 삶을 두루 비춰보며, 행복한 삶을 위해 준비하고 노력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다양하게 살펴본다면 분명 의미있는 삶을 성취해 갈 수 있을 것이란 다짐이 든다.

이 책은 중고생이 꼭 읽어야 할 한국 수필 60 의 개정판이다. 기존의 60편 외 10편을 추가하였다. 이렇게 수록된 수필은 최근의 입시 경향을 고려하여 엄선된 작품들이다. 현대적이고 문명 추구적인 글보다는 한국적 요소가 강하면서 자연적 요소를 다루는 글이 주로 선정되었다. 피천득,이어령,김소운,윤오영,신채호,한용운 등을 비롯한 한국 근현대 대표 작가이며 한국의 지성 52인의 수필 70편을 수록하였다. 더불어 이 중에는 박지원,이규보,정약용,이 곡 등 뛰어난 옛 문장가들의 작품 9편도 병행하여 실었다. 한편 이 책의 특징으로는 수필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본문 감상에 앞서‘수필이란’을 실어 수필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수필을 쓴다는 것의 의미와 수필을 쓰는 과정’을 실어 누구라도 수필을 쓸 때 지침을 삼을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이 책은 수능 언어영역 뿐만 아니라 논술과 구술면접의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집자의 말
수필에 대하여

수필을 쓴다는 것의 의미와 수필을 쓰는 과정
01 자아 발견을 위한 진지한 고뇌_구인환

아름다운 자연과 그에 비추어 본 인생의 단면
02 해바라기_유진오
03 그믐달_나도향
04 우덕송(牛德頌)_이광수
05 낙엽을 태우면서_이효석
06 한여름 밤에_노천명
07 풍란(風蘭)_이병기
08 나무_이양하
09 보리_한흑구
10 길_박이문
11 돌의 미학(美學)_조지훈
12 물_이태준

행복한 삶을 위한 인생의 예지
13 명명철학(命名哲學)_김진섭
14 권태(倦怠)_이상
15 생활인의 철학_김진섭
16 행복의 메타포_안병욱
17 특급품_김소운
18 인연_피천득
19 가난한 날의 행복(幸福)_김소운
20 돌층계_유경환
21 의자고(椅子考)_조경희
22 나의 사랑하는 생활_피천득
23 지란지교(芝蘭之交)를 꿈꾸며_유안진
24 잘 준비된 말을_이해인

확고한 의식과 올바른 삶의 추구
25 수오재기(守吾齋記)_정약용
26 경설(鏡說)_이규보
27 슬견설(蝨犬說)_이규보
28 이상한 관상쟁이_이규보
29 차마설(借馬說)_이곡
30 주옹설(舟翁說)_권근
31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_박지원
32 규중 칠우 쟁론기_작자 미상
33 경주_김태길
34 초설(初雪)에 부쳐서_류달영
35 죽음_김형석
36 꼴찌에게 보내는 갈채_박완서
37 드높은 삶을 지향하는 진정한 합격자가 되십시오_신영복

인간애를 잃어버린 현대인의 모습과 반성
38 생태학적 상상력_김영무
39 모송론(母頌論)_김진섭
40 구두_계용묵
41 딸깍발이_이희승
42 은전(銀錢) 한 닢_피천득
43 폭포와 분수_이어령
44 수묵화의 행복론_신일철
45 매화_김용준
46 미운 간호부_주요섭
47 움직이는 고향_허세욱
48 설_전숙희
49 쇠붙이와 강철 시대의 봄을 맞으면서_유안진

기예와 학문을 닦는 데 임하는 자세
50 박연(朴堧)의 피리_성현
51 불국사 기행_현진건
52 작품애(作品愛)_이태준
53 방망이 깎던 노인_윤오영
54 수필_피천득
55 양잠설(養蠶說)_윤오영
56 피딴 문답_김소운
57 글을 쓴다는 것_김태길
58 면학(勉學)의 서(書)_양주동

조국애와 조국을 향한 바람
59 기예론(技藝論)_정약용
60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_장지연
61 낭객(浪客)의 신년 만필(新年漫筆)_신채호
62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_김용준
63 심춘순례 서(尋春巡禮序)_최남선
64 헐려 짓는 광화문_설의식
65 조선의 영웅_심훈
66 조선 청년에게_한용운
67 지조론(志操論)_조지훈
68 들사람 얼〔野人精神〕_함석헌
69 마고자_윤오영
70 가난의 철학_한완상